대한민국의 주소체계에서 시/도, 시/군/구. 읍/면/동, 리까지 지명이 같으니 리(里)의 한자(漢字)만 다른 동네가 존재함을 확인하였음.
법정동 조회하다 한자만 다른 지명을 발견하여 놀라웠다.
법정동주소 |
법정동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기암리(岐岩) |
기암리(岐岩)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기암리(基岩) |
기암리(基岩)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화산리(華山) |
화산리(華山)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화산리(花山) |
화산리(花山)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평사리(坪沙) |
평사리(坪沙)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평사리(平沙) |
평사리(平沙) |
리(里)의 경우 길게는 조선시대경, 짧게는 토지조사를 일제히 시작했던 구한말, 일제시대에 생겼을 것이다.
리(里)를 한자를 병용해서 사용했을때에는 구분이 되었으나, 이제 한자를 병용으로 쓰지 않고 한글 전용으로 쓰는 경우가 많음.
위의 예처럼 시/도, 시/군/구. 읍/면/동, 리까지 지명이 같으나 리(里)의 한자(漢字)만 다른 동네를 구분하는데 엄청 힘든 경우가 있을 것이다.
위의 경우는 우편번호를 제대로 적으면 해결될것이나, 우편번호도 제대로 안적었을 경우 우편물 배달이나 행정적인 일을 할때 혼란이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음.
동음이의의 지명을 바꾸면 되지 하지만, 이미 오래전부터 관행적으로 쓰던 리(里)의 이름을 하루아침에 쉽게 바꿀수도 없을 것이고.
한자 전용일때 생긴 지명이 한글 전용 시기에서 엄청나게 처리하게 힘들게 되었다는 걸 보여준다는 것일까?
Legacy 처리의 어려움을 여기서 생각해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