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미국정부(The United States Goverment)에서 "The Goverment Innovation Pkatform"이라는 제목으로 정부 자체 PaaS(Platform as a Service, 서비스로서의 플랫폼)[각주:1]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하였습니다.
현재는, 미국 각지의 공공기관에서 각각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각 시스템의 경우 각지의 공공기관에서 서버구축하고, 운영하는데, 같은 내용을 중복 개발/구축/운영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을 겁니다.
이렇게 같은 내용인데도 중복 개발 및 구축, 운영하여 낭비하는 비용이 많다 보니, 각지의 공공기관이 각각 개발/구축/운영으로 드는 비용이 PaaS로 개발/구축/운영하는 것보다 비용이 많이 듭니다.
미국 각지의 공공기관에서 서버 구축 및 운영, 트래픽 비용을 각각 내는 것보다, 미국 정부가 클라우드 플랫폼을 구축후 각지의 공공기관이 내던 서버 구축, 운영 트래픽 비용을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처리할 것입니다. 이경우 장비 구입, 중복 개발등의 중복되는 비용을 절약등의 경제성 효과가 생깁니다.
그리고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구축하면 급증하는 트래픽을 바로바로 대응할 수 있게 하는 유연성, 확장성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추가로 관리 측면으로 Control이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위와 같은 3가지 장점때문에 미국 정부가 클라우드 컴퓨팅을 직접 도입하는 것이 아닐까란 생각을 해봅니다.
ps. 아마 미국 NSA가 cloud.gov를 감시하겠다는 생각을 해봄. (미국의 이야기이니, cloud.gov를 이야기 하면 한국 국정원이 잡아가는 게 아니라 미국 CIA가 잡으러 올듯한 기분은 뭘까?)
PaaS(Platform as a Service)는 SaaS의 개념을 개발 플랫폼에도 확장한 방식으로, 개발을 위한 플랫폼 구축을 할 필요 없이 필요한 개발 요소들을 웹에서 쉽게 빌려쓸 수 있게 하는 모델이다. [본문으로]
Will better software help police put criminals behind bars?(소프트웨어가 경찰을 도와 범죄자를 수감하는 것을 향상 시킬 수 있을까요?)
Scott Crouch, 23살의 이 나라[미국]의 700,000명 이상의 경찰관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그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였다. “ 이것은 화면의 여러가지 버그로 토할것 같이 보여준다”라고 그는 경멸적으로 말한다.
Crouch는 미국 뉴욕에 기반한 스타트업 “Mark43”의 CEO이며, 클라우드 기반으로 한 곳에서 검색할 수 있게, 서류(출력물)과 디지털 파일로 짜집기된, 경찰 기록을 더 향상 시킨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주장한다.
Crouch는 웹화면에서 지도로 조직의 움직임을 따라가거나 휴대전화의 움직임을 그려, 용의자의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수사관들이 흔히 있는 수상한 사람이 범죄 조직의 핵심인사인지 죄없는 사람인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빅데이터로 말하는 홍수는 민간부분의 어느 회사도 사법당국만큼 압도하게 되었다.
수사관이, 예를 들어, 이웃 구역의 용의추정자의 활동등의 정밀한 핵심 사실을 가지고 자주 그 어느때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접근한다. 다른 말로는 점들의 연결은 텔레비전을 보는 것보다 추적하는게 더욱 더 어렵다.
소프트웨어 부족한 것이 아니다 IBM의 왓슨(Watson)연구소의 슈퍼컴퓨터는 자연언어 질문으로 경찰관들과 같이 운영하고, 데이터 분석 강자 SAS, Oracle, Microsoft는 사법 당국에게 쉽게 읽을 수 있는 양식으로 보고서를 표현할수 있게 제공하고 있다.
아무도 미국 경찰 부서들이 이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얼마만큼 시간을 사용하는지 정확하게 기록하지 않았다. IDG Gorvernment Insights에 따르면 2014년 미국의 사법 집행 시스템에서 IT가 사용하는 비용이 총 35억달러이다.
“Mark43”은 Crouch가 하버드대학 3학년일때 학교 프로젝트로 시작되었다. 메사츄세츠주 경찰관(Messachusetts state-police troopers)을 따라 경찰 전술의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그는 경찰관들이 그들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되풀이 하며 사용하며 얼굴이 헬쑥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경찰관들이 보고서를 검색하기 위해 탭을 5번을 하고 버튼을 6번 누르고, 새로운 3개의 박스를 열어야 한다. 심지어 그건 일한 것이 아니였다 라고 그는 회상했다. 2013년도에 Crouch와 그를 따르는 2명의 엔지니어가, 트위터(Twitter), 텀블러(Tumblr), 포스퀘어(Foursquare)에 초기 투자한 Spark Capital을 통해 2백만 달러 종잣돈을 모았다. 그 이후로 “Mark43”은 경찰관들이 업무를 하며 따라 발생하는 것들: 일감 소유자에게 알려주는 것인가? 어디서 알려주는가? 날짜를 알려주는가? 저장소는? 저장소 위치는?등의 경찰관들의 업무에 대하여 질문을 하며 소프트웨어를 확장하였다
“Mark43"는 의사결정트리를 확장하여 계약을 하고, 가능한 대부분 항목들을 자동적으로 채웠다.
경찰관들이 수상한 자의 이름과 별명,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게 하였다. 클릭으로 수상한 자의 얼굴사진, 아래에는 페이스북의 친구의 친구 같은 것을 연관하여 수상한자의 페이지가 채워졌다.
이 페이지는 또한 수상한 자가 트위터가 공개되었다고 가정하여 수상한자의 트위터의 실시간 타임라인을 보여주게 하였다. (Crouch는 놀랍게도 수상한 자의 많은 수가 실제 활동하는 소셜 미디어 계정을 갖고 있다라고 말하였다)
올해에 Mark43은 미국에서 가장 큰 대도시 경찰부서와 기존에 있던 시스템을 Mark43으로 대체하는 계약을 맺었다. 최근 거대한 신기술이 항상 순조롭게 옮겨지는 것은 아니다.
로스엔젤레스(Los Angeles)의 전 최고 기술 책임자 Randi Levin이 정기 간행물 Governemnt Technology에 “사법집행시스템의 요구사항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결코 염두하여 적지 않았다.[The criminal justice requirements were never written with cloud computing in mind.]”라고 서술하였다. “Mark43”은 반대로 증명하여 희망을 보여야 해야 한다.
읽고 난 후 평.
미국 소프트웨어업체들이 신기술들을 등에 업고 새로운 서비스들을 보여주며, 기존의 체계를 혁신하고 있습니다.
소셜미디어가 언론 산업을 혁신하거나, 자동차산업에서 테슬라가 전기차로 혁신을 하는거나, 휴대폰시장에서 애플과 구글이 스마트폰으로 기존의 업체들을 혁신적으로 바꾸는 것 처럼, 기존의 사법행정시스템이 구닥다리라 더 효율적으로 혁신할수 있을까란 생각으로 사법행정혁신을 하는 스타트업 Mark43이 범죄 사법 시스템을 기존 시스템을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바꾸고 소셜미디어와 연동하여 더 효율적으로 사법행정을 구현하겠다를 보여주는군요.
하지만 클라우드시스템이 아직 보안에 취약한 부분이 많다보니 개인정보를 다루는 사법행정에서 개인정보 유출등의 민감정보 유출 이슈등이 발생할수 있고 등의 단점이 있습니다
위의 글처럼 “로스엔젤레스(Los Angeles)의 전 최고 기술 책임자 Randi Levin이 정기 간행물 Governemnt Technology에 “사법집행시스템의 요구사항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결코염두하여 적지 않았다.[The criminal justice requirements were never written with cloud computing in mind.]”라고 서술한것과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보 유출 가능성에 대하여 다시금 생각을 해보게 되었습니다.
(타임지에서 클라우드 시스템의 단점을 소개를 하지 않았는데 클라우드 시스템의 단점은 정보유출이 기존 시스템보다 쉽다보니 개인정보같은 민감정보가 노출될 가능성이 큽니다)
미국에서 행정시스템을 클라우드 서비스로 운영하겠다는 생각하고 구현했다는것을 보고 충격을 받았습니다. 한국에서는 2015년 9월전까지는 국가정보원의 지침으로 공공 행정시스템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을 할수 없습니다.
(한국에서는 국가정보원이 공공시스템에 클라우드 서비스 적용 및 사용을 막고 있다 2015년 초반에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발전법)’이 국회 통과로 9월부터 국가정보원 지침으로 가로막혔던 공공 클라우드 시장이 열리는 것을 보고 미국과 법규제가 다르다는 것을 느끼고 있음.)
이 기사를 보니 클라우드 컴퓨팅이 IT분야뿐만 아니라 생활 각 분야까지 사용할수있다는걸 느끼게 되었습니다.
ps. 날씨 좋은 일요일 오후 내내, 영어로 된 타임지 기사를 읽고 해석하는게 어렵네요. 번역 품질이 매끄럽지 않은것이 부끄럽습니다. ㅠㅠ
소프트웨어가 각각 경찰관들이 설치하여 쓴다면, 경찰측에서 데이터를 한 곳에 집중해서 관리하는 부담과, 단말기마다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데 시간이 걸려 기존과 같이 느린 시스템을 사용해야하는 점이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개념은 데이터를 전세계에 분산 저장하겠다는 개념입니다
아마존,MS같은 대형회사가 IDC라는 컴퓨터를 몇십만대를 설치할수 있는 곳에 컴퓨터를 설치를 하는데, 그 설치를 5대양 6대주의 중요한 곳에 설치하여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고, 백업도 하여 어느 곳에 가서도 자료를 빨리 받을 수 있는 개념이라고 보면 됩니다.
클라우드 개념을 어떻게 적용되나면, 쇼핑몰이나 모바일 게임 같이 어느 순간마다 갑자기 사람들이 사용할때, 이 사람들에게 서비스가 버벅거림 없이 사용할수있으려면 컴퓨터 자원이 여러대가 필요한데, 그 자원들을 사는데 돈이 많이 들어가니, 아마존,MS사와 같이 IDC의 컴퓨터를 여러대 를 두고 그 자원을 빌려쓰고, 사용자 수가 줄어들면 반납하는 등의 필요할때마다 빌려 쓰겠다는 개념이라고 보면 됩니다.
일종의 전기세, 수도세처럼 서버자원을 돈주고 사는게 비싸니, 남의 회사에서 구축된 서버를 빌려서 사용량만큼 쓰겠다는 개념인것이죠.
저번달인 7월 13일에 소개한 IBM IT insight의 2014년 2분기판이 나왔습니다. IT트랜드를 정리하여 잡지형태로 보여주는 사이트인 IBM IT Insight에서 매 분기마다 새로운 내용을 업데이트하는데요.
이번 2014년 2분기판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IT Insight 2014
지금, 비즈니스 세계에는 '클라우드'가 뜨고 있다' 얼마전까지 IT영역의 일부분으로 여겨져 왔던 클라우드, 이제는 기업의 여러 가지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비즈니스 의사 결정의 항목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런 변화에 따라 클라우드를 도입하는 기업도 매년 늘어나고 있다. 지금부터 IT Insight와 함께 클라우드 기술을 도입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는 5가지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클라우드"컴퓨팅이 유행이라 신문기사나 방송, 인터넷에서 "클라우드(Cloud)"라는 단어가 많이 나옵니다.
이번 IBM Insignt 2014년 2분기호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설명과 종류 그리고 IBM에서 나온 기사인 만큼 IBM의 클라우드 전략과 전망, 그리고 사업에서 클라우드 적용 등등 홍보성 글도 나옵니다.
요즘 IT업계의 화두인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내용 이해하는데엔 좋다고 봅니다.
참고로 내용을 e-book형태 및 PDF파일로 제공하기때문에 아이패드나 태블릿등에 PDF로 저장해서 돌아다니면서 읽을 수 있습니다.
개발자(Developer)와 감사자(Auditor)가 생각하는 클라우드(Cloud), IaaS, PaaS, SaaS정의
정보시스템 감사를 하는 감사자(Auditor)가 생각하는 클라우드(Cloud), IaaS, PaaS, SaaS의 정의는 아래 미국 정보시스템 감사통제협회 ISACA(Information Systems Audit and Control Association)에서 내놓은 2014 CISA(Certified Information Systems Auditor) 리뷰 매뉴얼책을 참조하였습니다.
미국 정보시스템 감사통제협회 ISACA(Information Systems Audit and Control Association)의 CISA(Certified Information Systems Auditor) 매뉴얼에서 나오는 클라우드와 IaaS, PaaS, SaaS정의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에 대해 기본적인 정의를 내린 두 기관은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와 클라우드 보안 연합(Cloud Security Alliance)이다. 두 단체 모두 클라우드를 설정이 가능한 컴퓨팅 자원(네트워크, 서버,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서비스)의 공유 저장소에 필요할 때 즉시 이용가능한 편리한 네트워크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의 모델로서 정의하고 있다. 클라우드에서는 이러한 자원들이 최소의 관리노력 또는 서비스 제공자와의 최소의 상호작용으로 신속하게 보급될 수 있다.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설명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공공서비스에 비유를 들 수 있다. 전기, 가스, 수도 사용에 대해 기업이 비용을 지불하는 것처럼 사용량에 따라 IT서비스에 대해서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선택권이 생긴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모델
서비스모델
정의
고려사항
서비스로서의 인프라
(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
프로세싱, 스토리지, 네트워크 그리고 기타 기본적인 컴퓨팅 자원 제공 가능성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어떠한 소프트웨어라도 고객이 가동운영할 수 있도록 해준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서비스 장애가 발생할 경우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서비스로서의 플랫폼
(Platform as a Service: PaaS)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가 지원하는 프로그래밍언어 및 툴로 고객이 개발 또는 도입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클라우드 인프라 상에서의 가동 가능성
가용성
기밀성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데이터베이스가 외부에 있음으로 인해 보안사항 위반 시 프라이버시 및 법적 책임 문제
데이터 소유권
e-discovery 관련 문제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
(Software as a Service: SaaS)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사용 가능성.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웹브라우저와 같은 저사양 단말용(thin client)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에서 접근 가능하다.(예: 웹기반 E-mail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대한 소유권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가동되는 장소
출처: ISACA, Cloud Computing: Business Benefits With Security, Governance and Assurance Perspectives, USA, 2009, 5페이지 도표 1.
정보시스템 개발을 하는 개발자(Developer)가 생각하는 클라우드(Cloud), IaaS, PaaS, SaaS, BaaS의 정의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도식화하여 표현할 때 사용하던 구름 모양의 아이콘에서 유래된 것으로, 구름과 같은 무형의 공간에서 컴퓨터로 할 수 있는 업무들이 가능하도록 설계한 것을 뜻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란 컴퓨팅의 기능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것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만 있으면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설명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클라우드 서비스의 가장 기초적인 모델, 쉽게 말해 컴퓨터와 같은 기본적인 저수준 자원(인프라스트럭처:Intrastructure)을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물리적인 컴퓨터도 상관없지만 대부분 가상 서버를 제공한다. 컴퓨터 외에도 가상의 저장소(디스크), 방화벽, 로드밸런서, IP주소, 가상LAN까지 제공하기도 한다. IaaS이용자는 인터넷으로 요청만 하면 원하는 컴퓨팅 환경을 수 분 이내에 사용 가능한 상태로 제공받을 수 있고 사용한 만큼만 지급하면 된다.
PaaS(Platform as a Service)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체제, 프로그래밍 실행 환경, 데이터베이스, 웹 서버와 같은 컴퓨팅 플랫폼을 제공해주는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이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각 플랫폼의 라이선스 구매나 복잡한 설치 과정 등을 신경 쓸 필요가 없다. PaaS위에 구축한 서비스 이용자가 늘어나면, 이를 지탱하는 데에 필요한 밑단의 컴퓨팅 파워와 저장소 크기도 자동으로 늘어난다.
SaaS(Software as a Service)
클라우드로 서비스되는 일반 사용자가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클라우드로 서비스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 없이 언제 어디서건 네트워크만 연결되어 있다면 그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다는 의미로 G메일이나 드롭박스가 대표적이다.
BaaS(Backend as a Service)
넓게 보면 PaaS에 포함할 수도 있는 서비스로 최신 트랜드의 모바일 혹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공통으로 쓰이는 기능을 묶어 백엔드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사용자 관리, 각종 통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의 연동, '푸시 노티피케이션[Push Notification]'등이 이에 포함된다. BaaS를 사용하면 앱 개발자는 UI등 프론트엔드에 집중할 수 있어서 앱 개발이 빨라지고 직접 구축하는 것에 비해 안정적인 서비스도 가능하게 된다.
위의 감사자와 개발자가 생각하는 클라우드, IaaS, PaaS, SaaS정의를 견주어 보면 약간의 시각의 차이가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감사자(Auditor)의 경우는 회사 조직의 전략과 목표, 그리고 외부 위협 및 위험 대처에 대하여 감사를 하다보니 고려사항에 법적 책임과 소유권, 서비스 장애 등의 대책까지 고려를 해야합니다. 결국에는 기업 측면에서 바라보게 되구요
개발자(Developer)의 경우는 클라우드, IaaS, PaaS, SaaS를 구현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정의 및 작동과 기능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시각이 있습니다. 구체적인 동작 기능 측면에서 바라보게 됩니다.
개발자와 감사자 모두 시스템을 보는데에, 감사자가 기능을 중시하나 기업 거버넌스와 IT거버넌스에 맞게 해석한다면, 개발자는 말그대로 개발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동작, 기능 측면에서 해석하게 됩니다.
이번에 CISA(Certified Information Systems Auditor)시험을보고 나서 개발자가 생각하는 것과 감사인이 생각하는 것이 다르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 느낌을 클라우드 개념 정리할때 위의 내용처럼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되더군요.
개발자도 개발자의 시각에서만 바라보지 말고, 사용자 그리고 감사자의 시각으로 어떻게 보는지 알아야겠다는 생각을 CISA시험을 통해 느낍니다.
아래 링크는 Engadget 에서 소개하는 Google Music Beta 서비스 체험기입니다. 구글의 뮤직 전략은 베타서비스에선 무료! 그래서 무료 서비스를 빨리 느끼고 싶습니다. (클라우드 서버에 각각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른 컴퓨터간 동기화를 한다는 개념은 Dropbox, Ubuntu One과 똑같습니다. 그러나 Google Music Beta는 음원 데이터만을 가지고 저장 및 동기화한다는 것입니다.)
아래는 Google사에서 자료가 인터넷으로 저장되기때문에 컴퓨터가 문제가 생기거나, 컴퓨터를 고장나도, 다른 컴퓨터에서 인터넷으로 자료를 접근 할수 있다는 동영상입니다.
Chrome OS는 기존의 운영체제와 다르게 로컬 디스크에 자료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인터넷으로 접근하여, 인터넷 서버(구글 웹 서비스 서버)에 자료를 저장합니다.
Chrome OS에서 서버 접속하려면 부팅 후 네트워크 연결을 우선 하여 클라우드에 등록된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야합니다. 로그인 이후, 항상 자신의 데이터를 서버에서 바로 불려서 사용할 수 있으며, 로그인 할 단말기가 어느 PC이든 상관 없이 접근 할수 있다는 개념으로 구상되었습니다.
아래는 컴퓨터를 계속 부셔도 항상 데이터가 인터넷에 저장(실제로는 구글의 웹서비스 서버에 저장됨)되기 때문에 자료 손실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시의 정전으로 인하여 웹서비스가 중단되면? 서버 해킹당하여 데이터가 손실된다면면?, DDoS와 같은 사이버 공격으로 서버 접근 못하면? 이란 이슈는 아직도 해결 못했습니다)
위의 링크에 있는 글 처럼 클라우드의 발전은 멈추지 않는다는 견해가 지배적이긴 하다만... 2년전 동영상과 지금의 상황을 봐도 아직도 클라우드 컴퓨팅은 멀었다는 생각을 가끔씩 합니다.
How to remain calm, despite what's about to happen to your Chrome notebook
Chrome UX designer Glen Murphy demonstrates some advantages of using a Chrome notebook. 25 computers were harmed in the making of this video. Fortunately, no data was lost.
아래는 Chrome OS가 탑재된 노트북을 부시고 있는 동영상들입니다. (참고로 노트북이 아깝습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