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재정위기에 대하여 잘 설명한 만화 링크.

Buy me a coffeeBuy me a coffee

 

기사 발췌

서머스와 크루그먼의 기본 논지는, 일단 인구 감소(또는 노동 공급의 감소)라는 장기적 경향이 '자연이자율'을 마이너스(-)로 만드는 세상이 되었다는 겁니다. 서머스의 외삼촌인 폴 새뮤얼슨의 주장, '자연 이자율'은 인구 증가율로 수렴한다는 얘기를 끄집어낸 겁니다. 즉, 앞으로도 장기 침체(secular stagnation)가 계속될 것이고 이것이 "새로운 정상(new normal)"이라는 거죠.

 

기사를 보다, 장기 침체를 겪고 있는 일본의 인구와 거품경제전과 거품경제 후를 생각해보았다.

인구수가 많은 "베이비 붐"세대들이 은퇴하고, 서서히 인구가 줄어가는데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인하여 신용을 창출을 하려고 하나 그 신용을 창출할 능력이 없으니, 예전처럼 소비활동이 줄어들것이고, 베이비붐세대 다음 세대들이 베이비붐세대보다 인구수가 적으니 당연히 신용 창출 능력이 베이비붐세대보다 떨어질것이 당연할테니...

노령인구가 많은 고령화 사회의 일본이 장기 침체 겪는게 당연한거고, 한국도 일본의 전철 따라 장기 침체 겪는게 당연하다는 이야기인건가? ㄱ-

기사에선 이런 이야기가 나옵니다.

지금까지 저와 함께 경제 기사를 읽어온 분들이라면 "별 것도 아닌 걸 가지고 호들갑 떤다"라고 할 수준의 얘깁니다. 어쨌든 여전히 미국의 경제학계를(그러므로 한국의 경제학계도) 지배하고 있는 시카고학파 유의 시장 만능론자들은 일제히 반대하겠지만, 이들의 얘기는 '장기 침체기에 국가가 나서서 재정 정책을 써야 한다'는 정도로 요약할 수 있겠죠.

장기침체기엔 정부가 장기 투자를 해야한다, 정부 주도 사업을 해야한다는 결론이 나오군요. 그러면 미국의 뉴딜정책과 같은 정책이 나오거나 아님 전쟁이라는 사건이 나와야 한다는 생각도 (전쟁은 너무 극단적이군요)

 

Buy me a coffeeBuy me a coffee
"부자들의 생각법 - 모르면 당하는 그들만의 경제학" 책 앞부분을 읽다, 머리속에 각인된 문구 정리.

서론
"자본 시장은 경제학이나 언론이 묘사하는 것과 달리 완전한 존재가 아니라 인간 행동의 집합체이다. 사람들이 실수를 하고 이상한 행동을 하면 자본 시장도 이상해진다. 집단 히스테리, 금융 위기, 사기성 투자, 투자 실수 등 자본 시장을 뒤흔드는 것은 결국 인간의 심리다. 자본 시장에서 최후의 승자는 정보와 지식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 인간의 심리를 잘 이해하고 이용하는 사람이다."

"자신의 약점과 실수를 아는 사람만이 변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나를 포함한 우리 모두의 약점을 낱낱이 파헤치고 있다. 만약 나의 약점을 잘 다스리고 다름 사람들의 양ㄱ점을 이용할 수 있다면, 돈을 벌 수 있는 수많은 기회를 발견할 것이다. 우리 주위의 부자들이 바로 그런 사람들이다."

1장
"1920년대에 이미 2000년과 놀랍도록 닮은 장면이 펼쳐졌다. 철도, 자동차, 방송 같은 '신기술'이 등장하면서 수많은 사람이 새로운 황금시대가 올 것을 꿈꾸고 투자에 열을 올렸다."

"자본 시장에서 반복되는 집단 광기와 혼란을 하나의 법칙으로 정리할 수는 없지만 폭등과 급락이 나타나는 일정한 패턴이 있다."

"사람들에게는 유행을 따르려는 습성이 있다. 그래서 사람이 많이 사는 상품이 더 잘 팔리고, 사람이 많은 식당에 사람들이 더 몰린다. 다른 사람의 행동을 따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세 가지 정도로 정리해 볼 수 있다.
1. 무리에 속해있을때 얻는 안정감때문이다.
2. 집단에 속한 사람들의 정보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3. 정보를 대하는 사람들의 태도 때문이다.
"

"대다수의 사람은 자신과 생각과 실제 상황이 일치하기를 원한다. 그래서 자신이 생각하는 것과 모순되는 정보를 접하면 이를 제거하려고 한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인지 부조화Congnitive Dissonance'라고 하는데, 한 생각에 꽂히면 다른 의견이나 정보에는 귀를 닫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런 심리적 성향은 일상에서 흔히 발견된다."

"사람들이 금융 전문 잡지를 열심히 읽는 이유는 새로운 정보를 얻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들이 믿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자신의 입맛에 맞지 않는 정보는 유리하게 해석하거나 무시한다. 심한 경우에는 정보의 출처를 의심하거나 정보를 알려 준 사람을 신뢰하지 않기도 한다. 이 때 다시 집단의 힘이 발휘된다. 자기와 의견이 같은 사람이 많아질수록 확신은 강해지고 낙관주의가 발전한다."

2장
"심리학에 따르면, 인간의 뇌는 복잡한 문제에서 벗어나려는 경향이 있다."

"사람들이 뭐라고 하는지 알고 있었지만 우리는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우리 방식을 지킬 만한 용기가 있었죠"

"실력보다는 운이 더 크게 작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위험관리Risk Management가 중요하다. 패턴과 규칙에 대한 집착을 버리는 것이다. 모튼 패턴과 규칙에 필연적인 인과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 연관성은 대부분 우연히 생긴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연관성의 인과 관계를 따지기도 전에 이미 그럴듯한 해석을 덧붙여 하나의 법칙으로 만들어 버린다. "


11장
1. 워런 버핏이 월스트리트에 살지 않는 이유를 기억하라.
2. 투자 세계에 언제나 통하는 법칙은 없다.
3. 본전 생각을 버려라
4. 푼돈의 무서움을 기억하라.
5. 손해를 인정하는 법을 익혀라
6. 늘 처음을 생각하라
7. 말의 핵심을 파악하라.
8. 돈을 쓰기 전에 며칠만 기다려라.
9. 포트폴리오 전체를 생각하라.
10.작은 변화를 자주 시도하라.
11.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도 비용이다.
12. 돈을 벌었을 때가 가장 위험한 때이다.
13. 투자를 기록하라.
14. 늘 의심하라.
15. 계좌에 이름을 붙여라.
16. 금융 위기는 생각보다 자주 온다.
17. 지동 이체 자동 주문을 활용하라.
18. 지금 당장 시작하라.
Buy me a coffeeBuy me a coffee


대기업들이 알짜기업들을 팔고 구조조정하는 걸 보면 1~2년뒤가 걱정될 것 같다.

대기업이라도 삼성이나 현대차의 경우는 아주 잘나가지만, 이 외의 대기업들 예컨대 거의 망하는 수순을 밟고 있는 STX그룹, 동양그룹, 그리고 동양과 비슷한 길을 걸으려는 동부그룹, 한진그룹, 두산그룹, 현대그룹등등 다들 어려워 하고 있다고 신문에서 소식을 알리고 있다.


특히 동부그룹은 동양그룹처럼 증권사, 보험사, 저축은행등 금융계열사를 가지다 보니 동양그룹처럼 문제 일어나지 않을까란 소식을 계속 본지라, 이번의 동부그룹 구조조정 내용을 보니 동부 그룹 회장께서 동양그룹처럼 되지 않기 위해서 분투노력하고 있다는걸 느낌.


위와 같은 노력을 해도 회사가 안팔린다면 정말 엄청난 사태가 나올것이 뻔하나, 설마 동양그룹처럼 계열사 파는 것 자체를 미적미적거리다 위기가 도저히 막을수 없을수 없는 사태까지 갈 것같진 않은 생각을 해본다. 알짜 회사들을 팔아버린다는걸 보면 말이다.


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 이후 금융위기로 인한 충격의 휴유증으로 경제가 악화되었고, 그 여파때문에 2013년도 이제는 도저히 못버티는 대기업들이 나오는듯 하다.


이제, 대기업들도 사업축소 및 구조조정으로 인하여 신입사원들을 적게 뽑고, 사업 투자를 소극적으로 할것 같은 분위기니, 대기업 취업 문이 점점 더 좁아지고, 중소기업들도 어려워질것 같은 생각을 해본다.

대기업들이 힘들다는건 대기업과 같이 일하는 협력 중소기업도 어렵다는 것과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중소기업 일자리도 줄어든다는 생각도 해보고.


2014년~2015년도는 경제쪽으로 뭔가 큰 일이 일어날것 같은 느낌은 뭘까?

Buy me a coffeeBuy me a coffee

집정리를 하다,  제가 사는 서울 외곽의 집 1998년도의 전세가격이 적힌 종이를 발견했습니다.

IMF 환란때인 1998년도의 전세가격과 현재인 2013년도의 전세가격을 보니 가격이 엄청나게 뛰었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연도

전세가격

 1998년

 4,200만원

 2013년

 2억원


위와 표와 같이 1998년도의 전세가격이 15년 뒤에 약 4배가 뛰었습니다.

집 가격은 얼마나 뛰었는지 잘 모르겠으나, 보통 전세가격이 집 가격보다 낮다보니 집가격도 엄청나게 뛰었다는 것도 알수 있겠지요.


신문을 보니 요즘 집주인들이 전세대신 월세를 선호한다는 기사들이 많이 나옵니다.

현재 집주인들이 월세를 놓으면 약 5%의 이자수익을 얻을수 있다고 하더군요.

보통 전세가 있는 집주인들이 전세자금들 예금에 넣고 돈을 불렸는데 1998년도의 예금이율과 2013년도의 예금이율을 비교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연도 

 예금이율

 1998년

 약 20~25%
(출처: 클리앙  IMF때의 살인적인 금리... )

 2013년

 약 2.5%

예금이율이 거진 약 10배 차이납니다.

약 15년전 전세자금을 은행에 예금을 넣었을때 약 20~25%의 이자 수입을 얻을수 있었다면, 현재는 전세자금을 은행예금으로 넣을 경우 2.5% 이자수입을 얻을수 있습니다.

현재인 2013년도에 집주인들이 2.5%의 수입을 얻기 위해 전세를 낼까요? 아님 5% 수입이 나오는 월세를 낼까요?

답은 나왔습니다. 머리가 멍청하지 않는 이상 5% 수입을 얻는 월세를 주는 것이 전세 주는 것보다 많은 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현재 2013년도의 상황에서 은행 이자는 정말 낮으니 집주인들이 전세를 놓고 돈을 굴리지 못하여  전세보다는 월세를 선호하게 됩니다.

집주인들이 전세대신 월세로 전환 -> 전세공급은 줄어드나 전세 수요는 전세 공급에 비해 많으니 전세가격 상승 -> 전세 가격은 올라가나 집 가격은 거품이 빠져 하락추세라,  실수요자들이 집 구입 대신 전세 찾음 -> 계속 전세가격 올라감...

정부가 전세대책이라고 내놓은 것을 보면 전세 대출을 권장하는 거라, 전세 대출이 어마어마 하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대출을 권장하면 사람들이 전세를 얻기위해서 무리하게 대출을 할것이고, 은행들은 부도덕하게도 전세대출을 권할것이니, 당연히 전세 가격이 더 오르겠죠.



집 가격이 하락 추세, 금리도 거의 낮고, 전세 가격만 상승하고 있고 정부는 은행 대출을 권장하고, 은행은 대출을 권장하여 가계빚을 늘리는데 집중하고 있고...

이러다 언젠간 전세가 사라지면서 전세살던 사람들이 엄청난 빚폭탄에 직격탄을 맞을까 겁이 납니다. -> 소비여력이 줄어들어 경제가 활력을 잃고 점점 거품경제의 휴유증을 겪은 일본처럼 될것같단 생각을 많이 합니다.


ps. 전세가 사라지고, 월세로 바뀌면 아마도 월세 감당을 못하는 사람들은 외곽으로 많이 빠질 것 같습니다. 생활비지출이 높은 상황에서 월세로 바뀌면 주거비용이 상승할것이고...

사회생활하면서 앞으로 의,식,주 모두 감당하기 힘들 것 같아 걱정입니다. 과연 젊은이들이 결혼하고 애를 낳고 살수 있을까요?

Buy me a coffeeBuy me a coffee

itistory-photo-1


2012년 10월 1일자 타임지(Time誌) 커버.


이번 타임지 커버에 빌 클린턴(Bill Clinton) 전 미국 대통령 사진이 나오며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의 특집기사 "5 Ideas that are changing the world(for the better)"[세계를 더욱 더 좋게 변화하는 5가지의 생각들]이 올라옴.

The Case for Optimism (긍정의 사례)

From technology to equality, five ways the world is getting better all the time by Bill Clinton


기술에서 평등까지의 5가지(기술[Technology], 건강[Health], 경제[Economy], 평등[Equality], 정의[Justice])의 방법은 세상을 모든 시간에 걸쳐 더 좋게 할것이다. - 빌 클린턴

1. Technology(기술) - Phones mean freedom(전화[휴대전화,Cell-Phone]는 자유다)

2. Health(건강) - Healthy communities prosper(건강한 지역사회는 번영한다)

3. Economy(경제) - Green energy equals good business(그린 에너지는 좋은 사업과 같다)

4. Equality(평등) - Women rule(여성 통치)

5. Justice(정의) - The fight for the future is now(미래를 위한 투쟁은 지금이다)



Buy me a coffeeBuy me a coffee



"How America Started Selling Cars Again."

"미국, 어떻게 다시 팔기 시작했습니까" 

The auto industry was running on empty. Now it's the new growth engine By Bill Saporito (The assistant managing editor of TIME)

"자동차 산업은 빈채로 달렸었다. 지금은 새로운 성장 엔진이 있다." Bill Saporito (美 Time 紙 부국장)

How America Started Selling Cars Again 마지막 문구에서

The Center for Automotive Research says that the industry, including foreign labels, could add as many as 167,000 jobs in the next few years. That’s good news for an economy with unemployment still near 9%. It won’t hurt the President’s reelection bid either.

Read more: http://curiouscapitalist.blogs.time.com/2011/12/08/how-america-started-selling-cars-again/#ixzz1fy0TOdHO

해석

자동차연구센터가 말하길, 외국업체를 포함한 산업은 다음 년도에 16만7천개 만큼의 직업을 추가할수 있다. 이것은 실업율이 여전히 9%근처일때 좋은 뉴스이다. 이것은 또한 오바마 대통령의 재선에서 지지를 하는데 다치지 않게 되었다.


미국의 대표적인 제조업종인 자동차 업종이 이제 부활하고 있다는 기사.

슬슬 2008년도의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부도 부터 시작한 경제 불황의 끝이 보이고 있다는 걸 알려주고 있군요.

아직 기사는 올라가지 않았다보니, 기사를 요약 소개하는 How America Started Selling Cars Again 의 글을 보고 Time지의 대략적인 표지기사를 짐작하였습니다.


잠시간 미국의 자동차산업이 침체됨에 이익을 얻은 한국 자동차 업계가 갑자기 걱정되기 시작했습니다.

PS. 과연 한미FTA는 누가 이익을 볼까요? (요약된 기사가 올라간 블로그 포스트 How America Started Selling Cars Again 를 보고 나서 생각났음)

ps2. 미국의 경기가 살아날 기미가 보이면, 한국 경제가 불황을 탈출할지도 궁금하군요. 그러나 유럽발 경제위기때문에 -_-;; (옆의 나라가 큰 내수시장을 갖고 있는 중국이라서 그나마 유럽발 경제위기에서 버티는 나라가 한국임을 생각하면...  미국, 유럽, 중국 모두 경제가 좋아야 한국 경제가 호황을 누립니다.)

Buy me a coffeeBuy me a coffe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