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의 취미는 외국어배우기[특히 한자(漢字/汉字, Chinese Character)문화권의 언어]입니다.
한자(漢字/汉字, Chinese Character)를 어릴때부터 알고 있었기 때문에 한자로 된 고전은 쉽게 읽게 되고, 거기에 일본 애니메이션이나 일본 드라마를 접하면서 일본어는 독학하고(일본어 잘 몰라도 한자를 아니깐 일본어로 된 문서 그냥 쉽게 읽히긴 함. 그런데 회화는 연습을 안해서), 고등학교때 배운 중국어는 조금 회화하는 정도 (중국어로 된 책을 보고 싶은데 아직도 입문 수준)
동아시아 문자인 한자(漢字/汉字, Chinese Character)를 사용하는 언어[중국어, 일본어] 배우는게 특히 재미있습니다.
그리나 영어는 도통 공부해도 안느는게 문제라 ㅠㅠ 그래도 언어 배우는게 재미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4개국어(영어,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중국어의 표기는 2가지 번체(繁體中文,Traditional Chinese)와 간체(简体中文,Simplified Chinese)로 표현하기 때문에 5개의 문장으로 표시함)로 글 쓰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시급히, 영어를 열심히 해야하는데, 그리고 제가 서울사람이 아니라서 서울말도 배워야 하는데 -_-;;)
종로 한복판의 어느 카페에서 한글날에 한국어로 된 책을 안보고 일본어로 된 드라마를 보고, 영어로 된 책을 보고 있으니 기분이 묘했습니다.
한글날에 한글의 우수성을 보기 위해서는 서양의 라틴어격인 한자(Chinese Character)를 기반으로 하는 동아시아 언어인 중국어[漢語/汉语, Chinese]와 일본어[日本語,日本语, Japanese], 한국어[韓國語,韓国語,韩国语,Korean], 베트남어[Vietnamese]를 컴퓨터에서 어떻게 표현할지 영어로 적힌 CJKV책(CJKV Information Processing, 2nd Edition) 읽을껄 이런 생각을 해봄...
위는 한자에 대해서 각국언어로 어떻게 표시하는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첫번째 영어, 두번째는 한자로 표기, 세번째는 대만에서 주음부호로 표기/중국대륙에서 한어병음으로 표기, 네번째는 한글로 표기, 다섯번째는 일본의 히라가나로 표기, 마지막 여섯번째는 베트남어로 표기.
A. 대만에서 주로 사용하는 주음부호(Chinese: 注音符號/注音符号; pinyin: Zhùyīn fúhào; Zhuyin Fuhao: ㄓㄨˋ ㄧㄣ ㄈㄨˊ ㄏㄠˋ - 대만에서 사용하는 중국어 표기 방식)입력기 포함안했습니다.[ibus-pinyin/ibus-libpinyin에서 제공하는 주음부호 입력기는 4성 표기가 안되어 쓸모없습니다.), 한어병음[漢語拼音/汉语拼音,Pinyin-중국 대륙에서 사용하는 중국어 표기방식] 중국어 입력기 라이브러리 변경했습니다. 한국어입력기 포함 안했어요
B,C. 입력기 변환 단축키를 이전버전의 Windows Ctrl+Space와 다르게 Mac OSX방식으로 변경했어요. 그리고 후보창 어떻게 디자인 해야할까요?
D. 입력기 엔진의 메뉴와 심볼이 충분하지 않아요.
그놈(GNOME) 3.7.92버전에서 대만에서 사용하는 주음부호입력기와 한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입력기 포함안했다니 그놈양반 무슨 소리요? 그놈 이미지 사용하는 한국인이 한글 입력기를 사용못하여 한글 입력 못한다구요? ㅠㅠ (ibus-hangul 설치하면 해결이 되긴 하나 이미지니깐 안될꺼아)
참고로 그놈(GNOME) 3.7.92 테스트이미지에서의 문제이다보다 차후에 문제 해결될것으로 봅니다.
ps. 동아시아[한국,중국,일본,베트남-中日韓越] 정보처리(CJKV[Chinese-Japanese-Korean-Vietnamese] Information Processing)아주 중요합니다.
한 사람에 대한 표현이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각기 다른 한자로(Obama를 중국 대륙은 奥巴马, 대만은 歐巴馬, 홍콩은 奧巴馬 이렇게 표기. 발음은 비슷합니다) 발음(북경어)은 거의 비슷하나 표기를 다르게 한것일뿐) 카타카나로, 한글로 다르게 표현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면 신기합니다.